바다 또는 해양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을 해양학이라고 하며 해양학의 세부 학문으로는 해양지질학, 물리해양학, 해양생물학, 화학 해양학, 해양공학 등이 있다. 바다에서 발견되는 다른 화학 물질 사이의 상호작용을 탐구하는 화학 해양학은 pH 측정기, 이산화탄소 측정기와 같은 측정 기계로 이를 사용하여 지구에 대한 결론을 예측하고 토출하는 연구를 화학 해양학자들이 한다. 화학 해양학자는 바다에서 일어나는 모든 작용의 전문가들이다. 그들은 현대 기술을 이용하여 환경과 지구 전체에 대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화학 해양학자들은 해양 산성화에 대해 관련이 있으며 탄소가 바다에 녹아 바다의 균형을 잃고 산도가 상승할 때 일어나는 산성화를 연구하며 대기와 해안선과 바다 깊은 곳의 해저에서도 입자 물질을 측정할 수 있다. 생물 해양학은 해양 생물에 대해 연구하는 모든 분야이다. 생물체가 해양학계의 물리, 화학, 지질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며 바닷속의 미생물을 중점으로 하고 있다. 생물학적인 해양학은 먹이사슬에서 미생물은 어떠한 역할을 하며 인간이 바다의 생태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며 바다를 연구한다. 해양 내의 물리적 조건과 물리적 과정, 특히나 해양이 어떠한 움직임을 가지고 있으며 물리적 특성을 연구하는 학문인 물리 해양학은 해양학이 나뉘는 여러 하위 영역 중 하나이다. 물리적 해양학은 가능한 유체 움직임을 설명하는 관찰과 복잡한 수치 모델을 통해서 바다를 깊게 연구한다. 고생물 해양학은 지질학적 과거의 해양학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과거 기후를 재구성하며 지구 기후에서 해양 과정의 역할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해양 지질학은 지구 내부의 성분과 지각의 이동, 해저 퇴적물이 어떠한 특징을 가졌는지 등에 대해 연구한다. 그리고 지각의 이동을 통해 지진을 예측하며 지하자원의 분포를 분석하는 인류에 실용적인 학문에도 영향을 주는 부분이다. 최근 물리해양학은 공해로 인한 기후 변화에 대한 예측이 중요해지면서 해양과 대기의 관계로 인해 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며 해양생물로부터 인류에게 유용한 물질을 취하기 위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과거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지식은 한정되어 있었으며 깊은 바다인 심해에 대해서 알려진 것은 극히 드물었다. 1876년 순수하게 과학을 목적으로 해양 탐사를 끝낸 챌린저호는 심해생물을 발견했고 약 4717종이 해양생물을 발견하였으며 또한 바다의 수온과 바다 안의 퇴적물을 수집하고 해류, 기상관측 등의 자료는 현대 해양학의 발전에 기초가 되었다. 현대의 해양 연구는 지구의 기후의 변화와 지구 온난화와 이와 관련된 생물의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데 중심을 두고 있다. 과거의 해양학은 선사시대에 인류가 바다와 해류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바다에 대한 초기 연구는 주로 지도를 제작하기 위해 이루어졌으며 어부들이 그물에서 기르던 해양 동물과 해양의 표면에 대한 것들로 제한되었으나 그 이후 납 선을 이용하여 바다의 깊이를 측정하는 연구 또한 이루어졌다. 해양 학자들의 초기 해양 탐험 이래로 해류와 온도 측정에 대한 연구가 주 관심을 받았다. 해류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은 조수, 바람의 방향과 강도, 염분, 온도 등이 있으며 바다와 육지가 맞닿은 선을 해안선이라고 하는데 해면은 조석, 파랑, 기압 등의 변화에 따라서 오르내리므로 해안선은 일정한 하나의 선이 아니고 계속 이동한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해양학은 환경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 지구의 온난화가 심각해지며 해양학자의 연구는 바다를 살리기 위한 연구로 바뀌었다고 볼 수 있다. 산호 백화 현상은 수온의 급격한 변화 탓에 산호가 하얗게 죽어가는 현상이다. 백화된 산호는 살아있지는 하지만 질병과 굶주림에 약하다. 조류의 색소가 빠르게 팽창하거나 손실되어 가는 과정을 통해서 세포 내의 황록공생조류를 뿜어낸다. 이는 광합성을 하며 수온의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활성산소를 만들어낸다. 황록공생조류로 인해 산호의 조직은 투명해지고 산호의 골격도 드러나며 영양분을 잃는다. 산호는 해양생물에는 매우 중요하다. 적들에게서 몸을 숨길 수 있게 피난처를 제공하고 먹이 활동도 도움을 준다. 산호의 백화의 원인은 바다의 수온 상승이다. 21세기에 예상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에 따라 산호는 희귀해질 것으로 생각된다. 산호가 희귀해진 데에 큰 영향을 준 사건이 있다. 2016년에는 가장 긴 산호 백화 사건이 기록되었는데 2014년부터 2017년에 발생한 엘니뇨로 인해 전 세계의 산호초의 70% 이상이 피해를 보았다. 이러한 지구 온난화 탓에 사망하는 산호의 사망률을 늦추기 위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산호의 개체수가 빠르게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해양학자와 과학자들은 산호의 성장과 그 개체수를 보충하기 위한 연구를 하고 있다. 연구 탱크에는 바다에서의 산호초가 자생하는 자연환경을 비슷하게 만들어 산호의 개수를 늘리며 재배하여 이렇게 키워진 산호들을 암초가 소멸하고 있는 바다에 이식하는 형식으로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이런 연구는 산호와 암초를 보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연구 탱크에서 산호를 재배하는 것은 적어도 10년이 걸리는 과정의 시간이 매우 든다. 이런 결과를 보고 우리는 퇴적물이나 도시의 개발과 처리되지 않은 하수 등의 산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줄이며 생태관광을 규제하고 육지와 해양 지역에 지속 가능한 관리를 통해 산호를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다.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문학과 분야, 상상 속의 우주를 탐구하기 위해서 (0) | 2024.06.19 |
---|---|
신경과학과 인간의 뇌에 대하여 (1) | 2024.06.18 |
기후 변화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과 인류의 생각 (0) | 2024.06.18 |
환경문제의 심각성과 지구 온난화로 인해 생기는 문제점 (0) | 2024.06.17 |
환경과학의 학문은 결국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말한다. (0) | 2024.06.17 |